본사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288,

대륭포스트타워 1차 307호

기업부설연구소

서울 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288,

대륭포스트타워 1차 304호~307호, 314호

Email

business@ngenebio.com

Tel

02-867-9798

Fax

02-866-9784

홍보

보도자료

2023-03-28
엔젠바이오 보도자료_나에앱

NGS 정밀진단 플랫폼 전문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가 개인 유전자 검사 사업과 마이크로바이옴 사업 확장 및 고객들의 건강 관리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건강 관리 앱 ‘나에(na-e)’를 런칭했다고 28일 밝혔다.모바일 서비스 ‘나에(na-e)’는 ‘나에 대한 건강 관리’를 지원하는 앱으로, 고객은 ‘나에’를 통해 DTC 유전자검사, 장내 미생물검사, 구강 미생물검사를 신청하고, 진행과정을 추적을 통해 검사 결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이다. 또한, 고객은 ‘나에’를 통해 10년치 건강보험공단의 검진데이터와 진료 및 투약정보를 간편인증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고객 정보 보호를 위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의 보안 솔루션을 적용하였다. 엔젠바이오는 암 정밀진단 분야 사업 뿐만 아니라, 일반인 대상의 유전자검사 사업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2021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DTC 인증제 시범사업을 통해 70개 유전자 검사 항목을 인증 받았고, 2022년에는 장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및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서비스를 상용화함에 따라, 이번에 출시되는 모바일 앱 ‘나에’를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본격적으로 B2C 대상으로 사업 분야 확장 및 향후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12주 운동 프로그램, 식이 관리 프로그램 등의 컨텐츠도 추가하는 등 모바일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로도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엔젠바이오 최대출 대표는 “환자분들에게는 NGS 정밀진단을 통해 최적의 치료 솔루션을 찾아드리고, 건강한 분들을 위해서는 DTC 검사와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등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잘 관리할 수 있는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항상 노력하겠다”고 밝혔다.‘나에(na-e)’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및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2023-03-09
엔젠바이오, NGS 기반 조직적합성 진단키트 임상적용 검증 논문국제학술지 게재

수입산 NGS 제품 대비 검사 정확도 향상활발한 조직적합성 임상 연구 진행 기대NGS 정밀진단 플랫폼 전문기업 엔젠바이오(KOSDAQ 354200, 대표이사 최대출)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반 조직적합성 항원검사 제품으로 개발한 HLAaccuTest(에이치엘에이아큐테스트)의 임상검증 연구결과가 유럽면역유전학연맹(European Federation for Immunogenetics, EFI) 공식 학술지인 HLA에 게재됐다고 9일 밝혔다.HLA는 2016년 Tissue Antigen에서 HLA로 학술지명을 변경했으며 알레르기 및 면역학 분야에서 저명한 학술지로 피인용지수(Impact factor, IF)가 8.8에 달한다. 이번 논문에 조직 및 조혈모세포 이식 전에 반드시 검사해야 하는 인간백혈구항원(HLA, Human Leukocyte Antigen)의 유전자 증폭효율을 개선하여 이식이 필요한 환자와 공여자를 대상으로 HLAaccuTest의 진단 정확도와 유효성을 입증한 결과가 담겼다.180개의 임상샘플을 이용한 1차 임상시험에서는 96.9%의 진단일치도를 보여 시험법을 개선하였고, 최종 임상시험 결과 5개의 HLA 유전자좌(genetic locus)에 대해 99.8%로 개선됨을 확인했다. 또한 NGS 기반의 수입산 검사제품은 정확한 유전형(genotype)을 구분하지 못하는 모호한(ambiguity) 대립유전자로 판정하였으나, HLAaccuTest는 동일한 검체로 비교시험 한 결과 모호성을 30%이상 해소함을 확인했다.엔젠바이오 김광중 연구소장은 “이번 논문 발표는 수입산 NGS 제품 대비 기술의 우수성과 진보성을 전문가들과 공유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이 논문 발표를 통해 조직적합성 임상 연구를 더욱 활발히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한편, 엔젠바이오는 2021년 HLA 유전자좌 5종을 검사할 수 있는 제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고, 같은 해 11개의 HLA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는 HLAaccuTest All에 대하여 유럽체외진단의료기기(CE-IVD) 인증을 받아 두 가지 제품군을 상용화했다.

2023-02-13
엔젠바이오, 지난해 매출액 110억원…”전년 대비 53.8% 증가”

엔젠바이오, 지난해 매출액 110억 원…”전년 대비 53.8% 증가”정밀진단 및 개인유전자검사 매출 증가로 성장세 지속신규 정밀진단 기술 조기 상용화 및 해외 진출 본격화로 성장 가속<2023-02-13> 정밀진단 플랫폼 전문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는 2022년 매출액이 110억 원으로 전년대비 53.8%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3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번 매출은 창사 후 최대 매출 실적이며, 영업손실은 85.8억 원으로 소폭 감소했다.엔젠바이오는 매출 성장의 주요 원인으로 ▲국내 대용량 고형암 정밀진단 검사 제품 ONCOaccuPanel™(온코아큐패널) 및 혈액암 정밀진단 검사 제품 HEMEaccuTest™(힘아큐테스트)의 신규 납품 병원 확대 ▲개인 유전자 검사 확대를 꼽았다.실제로 정밀진단 매출은 21년 25.8억 원에서 22년 34.9억 원으로 35% 성장했고 개인 유전자 검사 매출은 21년 43.1억 원에서 67% 증가한 22년 71.8억 원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9월 발행한 전환사채와 관련하여 2022년 12월 말 기준 주가가 전환가격을 상회해 파생상품평가손실로 인식되면서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전년대비 증가했다. 해당 파생상품평가손실은 현금유출과 관계없는 회계상 손실이다.회사관계자는 “올해는 엔데믹에 따른 NGS 정밀진단 시장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혈액 속 미세 암바이오마커 진단기술, 결핵 진단기술 등을 상용화해 국내외 기술 격차를 확대하고 분석 SW 유료화를 통해 NGS 정밀진단 및 Bioinformatics 분야에서 글로벌 회사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작년부터 태국, 베트남, 사우디, 독일 등 아시아 및 유럽 거점 국가에 NGS 진단제품 수출이 증가하는 등 해외 매출 비중이 확대될 계획”이라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상반기 계획대로 미국법인 설립과 CLIA랩 인수 및 제휴를 통한 조기 정밀진단 셋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2023-02-06
엔젠바이오, 두바이 MEDLAB 참가 통해 중동 시장 공략

엔젠바이오, 두바이 MEDLAB 참가 통해 중동 시장 공략중동 및 아프리카 시장 암 정밀진단 제품 입지 강화사우디 국립조달청 공급계약 등 중동지방 성공사례 확대<2023-02-06> NGS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가 2월 6일부터 9일까지 두바이 월드트레이드센터에서 열리는 중동지역 최대규모의 의료기기 박람회인 MEDLAB에(Medlab Middle East 2023)에 참가한다고 6일 밝혔다.MEDLAB은 140여 개국, 4,000여 개 이상의 전세계 기업이 참여하는 글로벌 진단 및 의료기기 박람회이다. 엔젠바이오는 이번 박람회를 통해 중동 NGS 시장에서의 선제적 입지를 강화하고, 중동 및 아프리카 시장에서의 사업 확장을 도모할 계획이다.이번 박람회에서 엔젠바이오는 ▲혈액암 정밀진단 검사 제품 힘아큐테스트(HEMEaccuTest™), ▲고형암 정밀진단 검사 제품 온코아큐패널(ONCOaccuPanel™), ▲유방암 및 난소암 정밀진단 제품 브라카아큐테스트플러스(BRCAaccuTest™PLUS), ▲조직적합항원 정밀진단 검사 제품 에이치엘에이아큐테스트올(HLAaccuTest™All), ▲결핵 정밀진단 제품 엠티비아큐테스트(MTBaccuPanel™), ▲질병 유전체 분석 소프트웨어의 성능과 시장 경쟁력을 홍보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파트너 확보 및 유통망을 개척하여 사업 확장에 나설 예정이다.글로벌 리서치 전문업체 마케츠앤마케츠(MarketsandMarkets)의 분자진단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중동 및 아프리카의 NGS 시장은 2021년 3억4780만 달러에서 연평균 9.4%의 성장률로 2026년에는 5억454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엔젠바이오는 이러한 중동 및 아프리카 NGS 시장을 공략하여 지난해 11월 사우디아라비아에 혈액암(HEMEaccuTest™) 정밀진단 제품을 국립 의료품 공급기관인 NUPCO(National Unified Procurement Company)를 통해 공급계약을 체결하였다.엔젠바이오 최대출 대표이사는 “자사의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을 중동시장에 알리고 사업 포트폴리오를 소개하는 등 적극적인 영업 및 마케팅을 통해 자사의 입지를 다져왔다”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기술을 기반으로 중동 및 아프리카의 시장을 선도하는 것은 물론, 유럽과 미주지역의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엔젠바이오의 MEDLAB 전시부스 사진>

2023-02-02
엔젠바이오, 泰,유방암 스크리닝 서비스 Grand Open

태국 대형 수탁검사기관 MP그룹과 NGS 기반 정밀진단 서비스 개시태국 내 NGS 기반의 정밀진단 서비스 확대 및 동남아 시장 선점 목표<2023-02-02> NGS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가 지난 30일 태국 대형 수탁검사기관 MP 그룹의 신규 확장 오픈하는 수탁검사실과 NGS 기반 정밀진단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2일 밝혔다.태국의 MP그룹은 30일 그랜드오프닝 행사를 열고 태국 내 주요 의료 관계자 100여명을 초청하여 첫 NGS 서비스를 성대하게 개시하였다. 엔젠바이오는 NGS검사 파트너로 참석하여 NGS 정밀진단의 필요성에 대한 발표와 엔젠바이오 제품소개도 진행하였으며, 새로운 검사법에 대한 현지 의료진의 높은 관심을 이끌어 내었다.엔젠바이오는 MP그룹 신규 수탁검사실을 통해 중대형 병원 및 정부 산하 의료기관, 건강센터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NGS 기반 정밀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MP그룹은 태국을 대표하는 대형 수탁검사기관이자 의료기기 전문 유통 업체다.MP그룹 실험실에서 개시하는 서비스는 유방암, 난소암 관련 유전자인 BRCA 검사로 검사 시에 엔젠바이오 제품인 BRCAccuTest™ PLUS가 사용된다. 해당 BRCA 검사 서비스는 ▲BRCA1/2 유전자 변이 여부 스크리닝 ▲개인의 선천적 유방암, 난소암 발생 위험도 및 ▲가족력을 함께 분석하여 유전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개인맞춤형 유전자 리포트를 제공한다.MP그룹의 리티차이 시윗잔(Rittichai Srivijarn) 회장은 “BRCAaccuTest™ PLUS는 태국 식약처에 의료기기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유방암 표적치료제 처방을 위한 진단검사 뿐만 아니라 BRCA1/2 유전자의 변이 스크리닝을 위한 검사로도 확대 활용이 가능하다”라며 “태국 내 주요 국가 병원 등에서도 관심이 높아 태국 내 BRCA 검사 서비스의 확대 뿐만 아니라 공동 사업 대상을 대대적으로 늘려갈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엔젠바이오의 최대출 대표이사는 “태국은 정부의 헬스케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를 바탕으로 아세안(ASEAN) 국가 중 최대 규모 의료기기 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라며 “태국 국가 유전체 프로젝트 연구 협력도 요청받은 만큼 태국 시장 확대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며, 기존에 거래되고 있는 싱가포르, 베트남 등을 포함하여 동남아 NGS 정밀진단 시장에서 선도하겠다”라고 전했다. MP그룹 그랜드 오프닝 행사 사진(좌 엔젠바이오 최대출 대표이사, 우 MP그룹 Rittichai Srivijarn Chairman)

2023-01-18
엔젠바이오, 국내 넘어… 동남아 시장 입지 가속화

베트남 국공립 병원 임상평가를 통한 유방암ᆞ난소암 정밀진단 레퍼런스 확보동남아시아의 LAB 발굴 및 글로벌 진출 교두보 마련<2023-01-18> NGS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가 동남아 정밀진단시장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약 1,100병상 규모의 국공립 병원인 호치민시티 온콜로지 병원 (Ho Chi Minh City Oncology Hospital)에 엔젠바이오의 유방암 및 난소암 정밀진단 제품인 BRCAccuTest™ PLUS가 제품 평가가 완료되어 임상검사를 오픈하였다. 또한, 약 2,400병상 규모의 베트남 국립암센터 (K-Hospital, National Cancer Center)에도 제품 평가가 완료되어 임상검사를 오픈할 예정이다.이번에 베트남 현지 임상 현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BRCAccuTest™ PLUS는 ▲아시아 최초 CE-IVD 인증 ▲유전성 유방암 및 난소암 환자의 BRCA1/2 유전자 변이를 한번에 검출 ▲환자별 조기 진단 및 최적 치료 가능 ▲검사시약으로부터 생산된 NGS 데이터 정보를 자동 분석 및 구현 ▲ 판독 및 임상보고서 작성까지 원스톱 제공 ▲빠르고 수월하게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방암 및 난소암 정밀진단 제품이다.엔젠바이오 관계자는 “앞서 BRCA 정밀진단 검사를 오픈한 병원에 이어 하노이에 위치한 베트남 최대 규모(3,500병상)의 국공립 병원인 박마이 병원(Bach Mai hospital)에서도 BRCAccuTest™ PLUS사용 계획을 논의 중”이라며, “전립선암 환자 대상으로 아스트라제네카 치료제 처방 확대를 위한 올라파립 임상시험에 쓰일 예정”이라고 전했다.베트남 전역에는 1,420개의 병원이 있으며 국공립 병원이 1,192개, 사립병원이 228개로 전체 병원 중 국공립병원이 8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 현지에서의 임상검사가 오픈되면 의료기기 공공입찰 등을 통해 국영병원에 제품 공급이 수월해지고 개인ᆞ민간 전문병원에서의 제품 사용 확대가 용이하다.엔젠바이오 최대출 대표이사는 “엔젠바이오의 BRCA 정밀진단 제품이 베트남 NGS 검사 시장을 리딩하고 있다”며 “NGS 기반의 다양한 정밀진단 제품으로 베트남 시장에서의 레퍼런스를 차근차근 쌓아갈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또한, 최첨단 유전체 분석서비스 제공을 통해 현지 규제 및 고객 니즈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새롭게 임상실험과 입찰 평가를 집중 공략함으로써 동남아 시장을 선점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2023-01-16
엔젠바이오,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미세잔존질환 검사 제품 상용화 추진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미세한 잔존 암까지 검출하여 환자의 예후 예측 측정 가능FLT3-ITD 유전자 변이 알고리즘 기반한 검사 제품 연내 상용화 계획<2023-01-16> NGS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가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및 ㈜다우바이오메디카로부터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차세대염기서열분석 (NGS) 기반의 미세잔존질환 (Minimal Residual Disease, MRD) FLT3-ITD 변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MRDaccuPanel™ AML FLT3-ITD)을 상용화한다고 16일 밝혔다.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은 급격히 악화돼 빠른 진행 양상을 보이는 백혈병이다. 재발이 잦고 재발 뒤 예후가 좋지 않아 사전에 재발 위험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재발의 주요 원인은 미세잔존질환이다. 백혈병 치료 후에도 정상과 구별되지 않는 암 세포들이 아주 미량으로 남아 있다가 재발되어 궁극적으로는 사망위험이 높아지게 된다.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FLT3(FMS-like tyrosine kinase 3) 유전자 변이는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유전자 이상으로 특히 FLT3-ITD(FMS-like tyrosine kinase 3-internal tandem duplication) 변이는 좋지 않은 예후를 보여 미세잔존질환의 대표적인 바이오마커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FLT3-ITD 변이 검사방법은 민감도가 낮아 미세잔존질환 검출에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NGS 기술을 적용하여 0.001% 이하의 FLT3-ITD 변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되고 있으나 아직 상용 제품은 없는 상태이다.엔젠바이오는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미세잔존질환 검사를 위한 MRDaccuPanel™ AML FLT3-ITD 제품을 상용화하여 제공할 예정이다. 초기 진단을 위해 힘아큐테스트(HEMEaccuTestTM)와 함께 국내외 혈액암 정밀진단 시장에 진출하고 표적치료제와의 동반진단 개발에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이번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개발을 착수한 NGS 기반 급성골수성백혈병 검사제품은 타 플랫폼 대비 높은 민감도와 정확도로 기존의 방법으로 검출할 수 없었던 길이의 FLT3 유전자의 ITD를 검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시에 TKD(Tyrosine Kinase Domain) 영역의 변이도 확인할 수 있다.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의 미세잔존질환 검사 및 진단, 약제 내성 여부, 예후 예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엔젠바이오 최대출 대표이사는 “최근 혈액암 표적치료제 개발에서 치료 후 미세잔존질환 검사를 통해 남아있는 잔존 암 세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졌다”라며 “민감도 높은 NGS 검사법을 활용해 미세잔존질환 바이오마커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혈액암 정밀진단 검사를 제공할 것이다. 많은 환자들에게 정확한 혈액암 진단과 치료 후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검사법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2023-01-03
엔젠바이오, DTC 유전자검사 국내 최다 항목 제공 승인

DTC 유전자검사 역량 인증제 승인 평가 기관 중 최다 항목인 70개 인증 승인보건복지부는 12개 신청기관 중 다양한 평가기준을 모두 충족한 6개 기관 대상으로 인증 부여<2023-01-03> NGS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가 지난 30일 보건복지부에서 최초로 실시한 ‘소비자 대상 직접 시행(DTC, Direct to Consumer) 유전자검사 역량 인증제(이하 ‘DTC 인증제’)를 승인 평가 기관 중 최다 항목인 70개와 가장 많은 유전자 정보로 인증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DTC 유전자 검사란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받을 수 있는 유전자 검사로, ‘DTC 인증제’는 소비자 대상 직접 시행(DTC) 유전자검사기관의 시설·장비·인력, 검사 정확도, 검사항목, 검사결과 전달, 홍보 및 판매방법, 서비스 관리계획의 적절성, 개인정보 보호 등을 평가하여 인증하는 제도이다.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 시장을 확대하면서도 안전한 유전자검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기존 유전자 검사가 가능한 항목을 열거하여 제한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정부 기관이 유전자검사 기관의 엄격한 기준에 대한 평가를 통해, 국민에게 보다 더 안전하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 평가이다.보건복지부는 12개의 신청기관 중 유전자검사 기관의 시설·장비·인력, 검사항목, 홍보 및 판매방법, 서비스 관리계획의 적절성 등에 대한 평가 기준을 모두 충족한 6개 기관을 대상으로 인증을 부여하였으며, 그 중 엔젠바이오는 국내 최다 항목 70개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검사항목은 식욕, 포만감, 비만, 혈압, 혈당, 비타민C 농도, 코엔자임Q10 농도, 루테인&지아잔틴 농도, 통증 민감성, 운동 후 회복능력 등 개인 건강관리를 위한 항목은 물론, 피부 노화, 기미/주근깨, 탈모, 새치 등 뷰티 항목과 수면습관, 불면증, 알코올대사, 카페인대사 등 개인 특성과 관련된 흥미로운 항목들도 제공한다.엔젠바이오의 유전자 검사는 기존에 축적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항목별 70가지에 대한 더욱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검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며, 2025년까지 보건복지부의 인증을 받은 DTC 유전자검사 항목으로 소비자들에게 신뢰 높은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엔젠바이오 최대출 대표는 “보건복지부 최초로 실행한 DTC 유전자검사 인증제 제도를 통해 엔젠바이오는 더욱 바람직한 유전자검사 환경 조성,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 서비스 제공, 그리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DTC 유전자검사 기관에 모범이 되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엔젠바이오 인증 항목] 분류 DTC인증제 심사 통과 항목(국내 최다 70항목) 영양소 비타민C 농도 비타민D 농도 코엔자임 Q10 농도 마그네슘 농도 아연 농도 철 저장 및 농도 칼륨 농도 칼슘 농도 아르기닌 농도 지방산 농도 비타민A 농도 비타민B6 농도 비타민B12 농도 비타민E 농도 비타민K 농도 타이로신 농도 베타인 농도 셀레늄 농도 루테인&지아잔틴 농도 운동 근력운동 적합성 유산소운동 적합성 지구력운동 적합성 근육발달 능력 단거리 질주 능력 발목 부상 위험도 악력 운동후 회복능력 피부/모발 기미/주근깨 색소침착 여드름 발생 피부노화 피부염증 태양노출 후 태닝반응 튼살/각질 남성형 탈모 모발굵기 새치 원형 탈모 식습관 식욕 포만감 단맛 민감도 쓴맛 민감도 짠맛 민감도 개인특성 알코올 대사 알코올 의존성 알코올 홍조 와인 선호도 니코틴 대사 니코틴 의존성 카페인 대사 카페인 의존성 불면증 수면습관/시간 아침형, 저녁형인간 통증 민감성 건강관리 퇴행성 관절염증 감수성 멀미 비만 요산치 중성지방농도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콜레스테롤 혈당 혈압 골질량 복부비만 운동에 의한 체중감량 효과 체중감량후 체중회복 가능성 혈통 조상찾기

2022-12-14
엔젠바이오, HLA 특허 등록, 외산 NGS제품보다 정확도 높여

한번의 검사로 HLA 유전자 11종 정확히 확인 가능외산 NGS 제품 대비 기술의 우수성과 진보성 입증<2022-12-14> NGS 정밀진단 플랫폼 전문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가 NGS 기반 HLA 진단 기술에 대해 특허를 등록했다고 14일 밝혔다.HLA(Human Leukocyte Antigen, 조직적합항원)란 사람의 모든 조직세포나 혈액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장기 또는 골수 이식 시에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사전에 공여자와 수여자 간의 HLA 일치도 검사가 필수적이다.엔젠바이오는 이번 특허 등록을 통해 HLA 진단제품 ‘HLAaccuTest’와 국내외에서 체외진단 의료기기로 인증받은 외산 NGS 제품과의 비교평가 결과 기술의 우수성과 진보성을 입증했다. 해당 특허기술이 적용된 HLAaccuTest™는 11개의 HLA 유전자(HLA-A/B/C, HLA-DRB1/3/4/5, DQA1, DQB1, DPA1 및 DPB1)를 NGS 기반의 고해상도로 식별하여 기존 검사법의 한계인 판독의 모호성(ambiguity)를 극복하고 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킨 제품이다.또한, 엔젠바이오는 전용 분석 소프트웨어인 EasyHLAanalyzer™를 통해 HLAaccuTest에서 생산된 NGS 데이터를 HLA 유전자형 판독부터 임상보고서 작성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도록 구현했다. 임상현장에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엔젠바이오 최대출 대표이사는 “엔젠바이오가 HLA 유전자 증폭용 조성물의 특허를 등록한 것은 당사의 NGS 제품 개발능력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해외에도 특허권을 취득할 예정이며, 국내외 조직적합성 검사를 시행하는 검사실에서 많은 관심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한편, 엔젠바이오 NGS 암 정밀진단 제품은 현재 국내 약 20여 곳의 상급병원 검사센터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지난 11월에는 사우디 조달청에 혈액암 진단제품 공급 계약을 수주하는 등 해외 20여 개국의 대리점을 통해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2022-12-07
엔젠바이오, '액체생검' 기술 활용해 미세잔존질환 검사 제품 개발 추진

액체생검 기술을 활용한 암 모니터링 제품 개발 나서, 내년 상용화 목표업계 관계자들과 연구개발, 기술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모색<2022-12-07> NGS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가 12월 7일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리는 대한진단유전학회 6차 심포지엄에 참가해 “액체생검을 활용한 미세잔존질환(Minimal Residual Disease, MRD) 검사 제품 상용화와 기술협력”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암 치료 후에도 몸 안에 미세 암 세포가 남아 있는 상태인 미세잔존질환은 암 재발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최근 미세잔존질환 검사 기술로 액체생검이 주목받고 있다. 혈액, 타액 등을 사용하는 액체생검은 검사 편의성이 높고 반복 검사가 가능한 특징이 있어서 암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거나 항암제 내성 변이를 조기 진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엔젠바이오는 액체생검 기술을 활용해 미세잔존질환을 검사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현재 혈액 내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순환종양핵산(circulating tumor DNA, ctDNA) 정보를 높은 정밀도로 분석하는 기술과 제품을 개발 중이다. 특히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미세잔존질환 검사 제품을 서울성모병원과 공동개발해 내년 중으로 상용화할 계획이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약 30%에서 나타나는 “FLT3(FMS-like tyrosine kinase 3) 유전자 변이”를 검출해 미세잔존질환을 검사하는 제품이다. 또한, 기존 혈액암 정밀진단 제품과 함께 백혈병 환자의 진단과 치료 후 모니터링까지 NGS 정밀진단 검사 플랫폼을 확장해 제공할 방침이다.엔젠바이오 최대출 대표이사는 “혈액 속 극미량의 순환종양핵산을 분석해 암을 조기 진단하고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암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혁신적인 기술이다”라며 “추가적으로 적용 분야를 확장해 동반진단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국내외 제약사들과 공동 연구개발 및 기술협력 등 다양한 협력도 모색할 방침이다”라고 전했다.한편, 시장조사기업 글로벌 인더스트리 애널리틱스(Global Industry Analysts)에 따르면 글로벌 액체생검 시장은 2020년 기준으로 11억 달러(약 1조 2,881억원)에서 연평균 20.2%로 고속 성장해 오는 2027년 38억 달러(약 4조 4,498억 원) 규모로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2022-12-01
엔젠바이오, 랩지노믹스와 손잡고 미국NGS시장 진출 본격 시동

미국 CLIA랩(실험실표준인증연구실)을 통한 NGS 진단서비스 개발 및 사업 협력국내 NGS 신규 진단 서비스 사업협력<2022-12-01> NGS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가 분자진단 헬스케어 기업 랩지노믹스(대표이사 진승현)와 NGS 기반 정밀의료 국내 사업 및 미국 CLIA랩(실험실표준인증연구실) 진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12월 1일에 체결했다고 밝혔다.엔젠바이오와 랩지노믹스는 이번 MOU를 통해 ▲미국 CLIA랩을 통한 NGS 진단서비스 개발 및 사업 협력 ▲국내 NGS 신규 진단 서비스 사업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엔젠바이오는 랩지노믹스에 NGS 정밀진단 제품(패널 및 분석 SW) 공급 및 CLIA랩 NGS LDT(실험실 개발테스트, Laboratory Developed Test) 서비스와 국내외 NGS 진단제품 및 분석SW 관련 사업화를 제공한다. 또한 랩지노믹스는 CLIA랩에 투자하고 진단서비스 및 엔젠바이오와 공동 개발한 신규 NGS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랩지노믹스는 지난 9월 공시를 통해 경영권 변경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경영권 인수 예정 법인은 루하프라이빗에쿼티(이하 루하PE)로 헬스케어 섹터 전문 기관전용PEF 운용사다. 루하PE는 결성 예정 펀드를 통해 랩지노믹스의 지분 36.01%(희석 기준)를 확보하고 기존 보유 현금성 자산과 신규 941억 원 투자금을 활용해 기존 유전체 검사 분자진단 서비스 사업 등 성장과 신규 해외 진출을 추진할 예정이다.특히, 랩지노믹스는 우선 미국 내 주요 CLIA랩 인수 이후 해당 실험실에서 진행하는 진단 영역에 랩지노믹스를 비롯한 한국의 진단기술을 접목시킨 LDT(실험실 개발테스트, Laboratory Developed Test) 서비스를 런칭할 계획이다. 이러한 성장 전략이 NGS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인 엔젠바이오와 미국 CLIA랩 진출 협력을 비롯한 전략적 사업협력에 나선 이유다.엔젠바이오는 이번 협약를 통해 랩지노믹스가 인수 예정인 CLIA랩에 NGS 제품을 수출하고 서비스를 셋업하여 조기에 미국시장 진출을 실행할 전망이다. 엔젠바이오 최대출 대표는 “현재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미국 CLIA랩과 지분투자 및 사업협력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라며, “이번 업무협약를 통해 랩지노믹스와 미국시장 레퍼런스를 성공적으로 확보하고 국내외 NGS 사업개발 및 정밀진단을 위한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좌 신재훈 랩지노믹스 재무담당이사, 우 엔젠바이오 최대출 대표이사 >

2022-11-29
엔젠바이오, 3분기 온라인 IR개최

액체생검, 결핵, 치매진단 제품 개발을 통한 타겟 질병 확대 해외 NGS 정밀진단 사업 확장 및 맞춤형 헬스케어 사업 성장<2022-11-29>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가 29일 기관 대상으로 온라인 기업설명회를 개최해 사업 실적 및 2023년 성장 전략을 밝혔다.엔젠바이오는 이번 기업설명회를 통해 ▲신규 정밀진단 기술인 액체생검, 결핵, 치매, 변이해석서비스 개발 전략 ▲해외 NGS 정밀진단 사업 확장 진행 ▲헬스케어 사업 확장 전략 등 단계적 성장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엔젠바이오는 신규 정밀진단 기술 상용화 전략으로 혈액을 통해 암 돌연변이를 모니터링하고 항암제 내성을 파악할 수 있는 액체생검 기술을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한 번의 검사로 치매와 관련된 유전적 인자 및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치매진단 패널을 임상 검증하고 CE-IVD 인증을 취득한 결핵진단 패널을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최대출 대표는 “엔젠바이오 NGS 기술로 암, 치매, 결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용화를 완료해 종합 정밀진단 업체로 한단계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최대출 대표는 또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아 새로운 진단 제품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니즈가 확대되고 있다” 며, “유럽, 중동, 동남아 등 해외 대리점과 대면 마케팅에 집중하면서 해외 수출 확대 성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 25일 엔젠바이오는 사우디 국립 의료품 공급기관인 NUPCO(National Unified Procurement Company)를 통해 사우디아라비아에 혈액암 정밀진단 제품을 2023년 1분기부터 2년간 매번 발주 시 확정된 계약단가로 납품할 수 있는 성과를 거뒀다.마지막으로 엔젠바이오는 헬스케어 사업의 파트너를 확대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해 맞춤형 데이터 플랫폼 사업자로서 차별화된 개인 맞춤 건강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제시했다. 하나은행, 세라젬, kt 알파 등 기존의 파트너와 B2B 사업 모델 강화하고 모바일 상품권으로 신규 DTC 시장 개척해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유지할 계획이다. 품질 측면에서도 영양, 운동, 식이 등 헬스케어 컨텐츠를 더욱 더 고도화해 모바일 앱을 통해 서비스를 확장할 방침이다.한편, 지난 25일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엔젠바이오는 신규 출시된 대용량 고형암 유전자 진단제품인 ’ONCOaccuPanel’(온코아큐패널) 및 혈액암 유전자 진단제품인 ‘HEMEaccuTest’(힘아큐테스트)의 사용 의료기관이 2배 이상 증가했다. 맞춤형 헬스케어 콘텐츠 제공 등에 따라 개인 유전자 검사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한 96.8억원을 달성했다.